▶인코딩 (encoding) : 사람이 인지할 수 있는 문자(언어)를 약속된 규칙에 따라 컴퓨터가 이해하는 언어(0과 1)로 이루어진 코드로 바꾸는 것
▶즉, 정해진 규칙에 따라 코드화, 암호화, 부호화 하는 것.
▶인코딩을 하는 이유 : 정보의 형태 표준화, 보안, 저장공간 절약 등을 위해서
▶디코딩 (decoding) : 인코딩의 반대개념, 복호화, 역코드화의 의미. 저장공간 효율화, 보안 등의 이유로 인코딩 한 데이터를 다시 디코딩을 해서 사용할 수 있다.
UTF-8 Encoding
▶인코딩의 종류. 유니코드 인코딩 중 가장 기준이 된다. 8bit를 기본으로 사용.
Charset or Characterset
▶미리 정해진 규칙. 즉, 코드표. 문자나 기호들의 집합을 컴퓨터에서 저장하거나 통신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부호로 바꾸는 것으로, ‘부호화’라고도 한다. 이 인코딩된 문자 부호(character code)는 다시 디코딩(복호화)하여 본래 문자나 기호로 표현할 수 있다.
HTML5
▶최신버전의 html. 문법면에서 간결하고 정확해짐. API를 포함하게 되면서 웹·앱 구현이 가능. 문서편집 등 다양한 기능이 가능해졌다.
▶웹 호환성 (Cross Browsing) : 웹 브라우저 버전, 종류와 관계 없는 웹 사이트 접근
▶웹 접근성 (Web Accessibility) : 인적, 환경적 요인에 제약없는 웹 정보 접근
▶웹 표준, 웹 호환성, 웹 접근성의 목적은 웹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웹 사이트를 자유롭고 편리하게 이용하는 점과 장애인, 고령자 등을 포함한 사용자 층 확대, 다양한 환경, 새로운 기기에서의 이용, 개발 및 운용의 효율성 제고 등의 기대효과가 유사하지만 대상 및 종류 등의 준수 내용과 편의를 제공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. 웹 표준을 준수 하는 것만으로는 웹 접근성이나 웹 호환성이 보장되지 않으며 웹 호환성을 준수하더라도 웹 접근성은 보장되지 않는다.
※결론! 사용자가 불편하지 않게 사용 할 수 있어야 함. 사용자 => 비장애인, 장애인, 고령자 등 모든 사람